○─ 양파&마늘/양파&마늘 재배 관리

한지형 6쪽마늘 파종은 11월 중순이 ‘마지노선’

서대산애플 2011. 10. 19. 12:24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제공

중부지역 한지형 6쪽마늘 파종은 11월 중순이 ‘마지노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농업기술원(원장 손종록)은 기후변화 대응연구의 일환으로 2008년부터 3년간 6쪽마늘
파종기 구명 실험을 실시, 11월 중순이 파종 한계기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실험은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영향으로 겨울이 따뜻해진 데다, 이모작이나 후작으로 파종기가 갈수록 늦어지는 추세에 따라 10월 초부터 11월 중하순까지 단계별로 실시했다.
그동안 파종 적기는 10월 중하순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험 결과 10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마늘을 파종했을 때 수확량은 0.1㏊당

1천200㎏인 반면, 11월 중순 이후에는 0.1㏊당 966㎏으로 조사됐다.
한계기인 11월 중순을 넘겨 파종할 경우 수확량이 크게 감소한 것이다.
또한 10월 중순 이전에 파종할 경우에는 마늘 싹이 어린 상태로 월동하기 때문에 겨울철 한파로 인한 냉해가 우려된다.
따라서 냉해 피해도 피하고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10월 하순부터 11월 상순이 파종에 가장 적당하다는 것이 도 농업기술원의 설명이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기후변화에 따른 갑작스런 한파로 인해 냉해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며 “파종은 너무 일찍 하거나 늦어지지 않도록 하고, 후작으로 파종하더라도 적어도 11월 중순 이전에는 마쳐야 한다”고 당부했다.     

 

 

               마늘 심는시기와 심는 방법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제공 참고) 

 

1. 마늘 심는시기는 남부지방9월하순-10월중순, 중부지방10월중순∼11월 중순이 적당합니다.

2. 마늘종구(종자)는 10a당 70접정도 소요됩니다. 텃밭의 크기를 대충 짐작하여 종자마늘을 준비

    하시면 되겠지요.(1접에 4평정도 소요) 

3. 마늘심는 간격은 8-10센치정도로 나와 있습니다만 요즘 농자재 판매하는 곳에 가시면 마늘

    재배용 필름(구멍이 뚫린 흰 멀칭비닐 )이 있으므로 구입하여 사용하시면 아주 편리합니다.

4. 마늘 심을 땅에 산성땅이 많으므로 석회를 섞어서 중성으로 맞춰주어야 합니다.

5. 마늘은 백합과의 식물이므로 뿌리가 많이 퍼지지 않으므로 완숙퇴비를 1평당 10- 15kg정도.

   복합비료10평당 3kg정도 적당할것 같네요

   그런다음 퇴비. 비료. 토양살충제(선충: 모캡, 고자리파리: 더스반입제, 흑색썩음병 : 호리큐어유제)

   가 적절하게 배합되도록 로타리를 친다음 두둑을 만들고 비닐을 씌워 약2일정도 지난 다음 마늘을

   멀칭비닐의 구멍에다 5cm정도 땅속에 심으면 됩니다

   이때 마늘을 얕게 심으면 뿌리가 나면서 밀고 위로 올라와 겨울철 동해를 받기 쉽습니다.

   또한, 마늘은 토박한 땅에서는 수량이 증대하지 않습니다. 파종하기전 마늘을 벤레이트 등에

   소독하면 더욱  좋습니다. 

   파종 후 가뭄현상이 나타나면 비닐 위에다 조리개로 물주기를 하시면 효과 있습니다.

6. 중부지방에서는 마늘을 심고 땅이 얼기전 동해를 예방하기 위해 짚, 낙엽, 비닐등으로 덮어

    주어야 합니다

7.기비는 50%하고 추비는 3~4월까지 3회 nk복합비료(요소와 염화가리)를 시용하고 가끔 보조

   영양제를 주면 주먹만한  마늘이 수확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마늘 비대는 마지막 기간에

   급비대함을 잊지 마시고 가물면 관수를 해주어야 합니다.  

   특히, 5월이 후는 비료를 주면 벌마늘이 된답니다. 비료는 4월까지만 주시고요

8. 마늘은 6월중에 수확합니다. 봄에는 마늘의 쫑이 올라올 때 뽑아주어야 마늘이 굵어집니다.

   그리고 마늘은 초봄에 요소비료를 웃거름으로 시용하는 정도이므로 다수확은 과다한 웃거름에

   의한  것이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코끼리마늘과 캐나다마늘은 마늘쫑을 뽑기는 절대적이랍니다

 

 (유의해야 할 사항)

   1. 좋은 종구를 써야 좋은 마늘이 나옴니다

   2. 깊이  심으세요(얕게 심으면 벌마늘 발생 가능)

   3. 좋은마늘(굵은 마늘)(종구 또는 씨마늘로 부름) 은 중앙으,  조금 덜한 마늘(적은 또는 잘은)은

       싸이드로 심으세요

   4. 마늘파종 후 수분이 적당할 때 비닐 피복은  하세요

   5. 관수는 수확 1주일전까지 하세요

   6. 3년에 한 번은 종구 개량을 하세요(주아를 이용해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땅속의 구근이 썩으면서 포기 전체가 노랗게 마름

  ○ 병든 구근은 검정색의 균핵으로 덮여 있음

  ○ 병든 포기는 보이는 대로 제거하고 가을 파종시 종구 소독 또는 토양소독 실시

   - 종구소독: 벤레이트티, 삼공베노람, 큰나락, 씨쏘독

   -토양소독: 밧사미드, 농자왕, 후치왕, 킬퍼, 삼진왕, 실바코, 호리쿠어, 몬카트, 라피드

                   푸지매, 사파이어, 터프시바, 안빌, 살림꾼      

 ▶ 위의 글은 저의 경험을  참고해서 게재한 글이오니 마늘을 심는 회원님들께서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었으면 해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