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논재배시 이렇게 해야..
콩 논재배시 이렇게 해야..
1. 재배적지 선정
○ 여름철 집중호우시 침수 우려가 없고 비가 그친 후 24시간 내에 물빠짐이
가능할 정도로 배수가 양호한 토양이 좋으며 침수에 대비하여 약간 지대
가 높고, 경사가 있는 지역의 논이 유리하며, 토성은 사양토, 양토, 식양토가
적지이다.
2. 경운, 시비 및 배수로 설치
○ 논에서 콩재배 첫해에는 경운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한다
○ 논에서 콩재배는 습해예방을 위하여 반드시 높은 이랑재배 실시
○ 콩은 타작물에 비해 산성토양에 약하므로 석회를 반드시 시용
○ 논토양은 밭토양보다 유기물 함량이 많으므로 밭에서의 표준시비량 (8-14-12 전용복비 2포)을 줄 경우 과번무로 도복우려가 있으므로 생육상황을 보아가
며 개화기 전후 적은량의 질소비료 추비로 생육 및 수량제고 도모
○ 배수로 설치 : 포장의 입지조건을 고려하여 장마기간이나 집중호우시에 침수
가 되지 않고 지표 배수가 신속히 될 수 있도록 설치
3. 종자 준비와 파종
○ 종자준비와 소독 : 파종전 반드시 종자소독 실시,
-씨앗 1kg에 종자소독약 벤레이트티나 호마이 4~5g을 씨앗에 고루 묻도록
분의 소독(벤레이트티 100g 으로 종자 20kg 소독)
○ 파종시기 : 단작 5하~6월상순, 이모작 6월 상중순
○ 재식거리 : 90㎝의 두둑을 지어 60~40㎝ × 15~20㎝ 간격으로 파종하여
3㎝ 정도로 흙덮기, 토양비옥도에 따라 재식거리 조정
○ 파 종 량 : 300평당 일반콩 5~6kg, 콩나물콩 3kg 내외 소요
4. 생육중 관리기술
○ 중경 : 콩의 생육초기 골사이를 긁어주는 작업으로 잡초방제 및 토양의
물리성 개선
○ 배토 : 골사이의 흙을 긁어 어린 식물에 북주기를 하는 작업으로 중경작업과
동시실시, 제초제 사용시는 파종 30~40일경 제1본엽절까지 1회 실기
○ 순지르기 : 베게 심었을 때, 거름기가 많을 때, 웃자란 포장 등은 본엽 5~7
매시 생장점을 제거해 준다(키가 작은 품종은 효가 적음)
5. 콩밭 제초제
○ 토양처리제 : 아파룩스수화제, 알라유제 · 입제, 코달유제 · 입제, 쏘나란
유제 .입제, 듀알유제 · 입제 등
○ 경엽처리제 : 나브유제, 원싸이드유제, 셀렉트유제, 타가유제, 푸로레유탁제, 뉴원싸이드유제, 슈퍼갤런트유제 등
※ 제초제 사용시 유의사항
- 논에 콩을 재배할 때는 밭에서 재배할 때보다 토양 수분함량이 높아 약해의
위험이 크다. 즉 물이 잘 빠지지 않는 곳이나 습기가 많은 곳, 많은 비가 예상
될 때에는 약해의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금지
- 경엽처리제인 경우 화본과 작물인 벼, 보리, 옥수수, 수수등에는 약해가
심하니특히 약액이 주변 벼논으로 날아가지 않도록 각별히 유념
- 입제 제초제의 경우도 살포후 비가 많이 와서 아래 벼논으로 약액이 흘러
들어가면 벼에 약해가 발생되므로 처리에 특별한 주의 필요
- 과습지, 주변 벼논 약해유발 우려지는 인력제초 실시
6. 병충해 방제
○ 노린재류 방제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풀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등
- 최근 2~3년 동안 콩농사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 꼬투리생성 초기 이웃농가와 공동방제가 효과적임
- 방제약제 : 스미치온유제, 호스타치온유제, 세빈수화제 등
구 분 |
방제시기 |
대상병해충 |
적용약제 |
1차 |
7하~8상 |
갈색무늬병, 노균병,먹뿌리썩음병, 자주빛무늬병,미이라병, 노린재류, 줄기굴파리등 |
살균제 : 베노밀, 만코지 등 살충제 : 디프, 피리모, 메프, 지노멘수화제 등 혼합살포 |
2차 |
8하~9상 |
세균성점무늬병, 먹뿌리썩음병, 자주빛무늬병, 탄저병, 미이라병, 노린재류, 콩나방등 |
위와 같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