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 재배법 알아보기
오늘은 마늘 재배법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마늘은 백합과의 파속에 속하는 식물 입니다.
비슷한 채소로는 양파, 파, 부추등이 있고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요 부류의 채소들은 냄새가 독특하고 매운맛이 납니다.
겨울을 지나는 2년생 작물로써 월동 전 또는 월동후에 싹이 나옵니다.
재배 환경에 따라 난지형 마늘과 한지형 마늘로 구분 할수 있고요
난지형 마늘은 남부해안지방에서 주로 키우고 한지형은 중부내륙지방에서 재배 합니다.
그 이유는 난지형의 경우 겨울이 짧고 따듯한 지방에 적합하며,
한지형은 겨울철에 비교적 온도가 낮고 긴 중부지방에 적합한
품종 입니다.
자 그러면 일단 마늘 재배법에 대하여 알아보실때 본인의 지역에 맞는
품종을 선택 하셔야 겠죠
위와 같은 조건을 생각 하시고 품종을 먼저 골라 주세요.
자 품종을 고르셨으면 이제 순서대로 진행 하시면 됩니다.
1. 씨마늘 갈무리와 고르기
우리 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는 마늘은 대부분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로 인하여 수량이 감소할수 있는데요
그래서 씨마늘은 반드시 바이러스 밀도가 낮은것을 고르셔야 합니다.
바이러스에 의한 증상은 녹색 잎에 노란 줄무늬 현상이 나타나 쉽게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습니다.
선발된 씨마늘은 직사광선이 쬐이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마늘 쪽이 클수록 저장양분이 많고 뿌리의 발육 및 신장이 좋으므로
월동율이 높아지고 초기의 생육이 왕성하여 증수의 요인이 됩니다.
그러나 10g 이상의 너무 큰 마늘 쪽을 심으면 벌마늘이 생기기 쉬우므로 쪽의 크기는 5∼7g 정도가 적당합니다.
종구로 사용할 마늘쪽은 아랫쪽의 뿌리가 발생될 부분이 건전한 것을
골라야 합니다.
그 이유는 겨울동안 언피해를 받기 쉽고 생육이 불량해 집니다.
2. 씨마늘 소독
벤레이트티 400배액+디메토유제 1,000배액에 1시간 정도 담갔다가
그늘에서 말린 다음 파종합니다.
마늘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병해충은 종구를 통하여 감염되므로
종구 소독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수 있습니다.
3. 밭 만들기
파종 1∼2주일 전에 퇴비와 석회를 밭 전면에 골고루 뿌린 다음
깊이 갑니다.
파종 1∼2일 전에 화학비료 및 토양 살충제를 고루 뿌리고 땅을 고르는데 마늘의 뿌리가 곧게 자라므로 뿌리가 곧게 자랄수 있도록 깊게
갈아 주셔야 합니다.
4. 심는 방법
마늘쪽의 크기에 따라 다소 다르나 5∼7g짜리 씨마늘의 경우 줄사이는 20cm, 포기사이는 10cm가 알맞으며,
120cm이랑 폭에 고랑을 30cm로 하면 10a당 40,000개 정도의 마늘쪽을,
40cm인 경우는 37,500개의 마늘쪽을 파종할 수 있습니다.
마늘을 심을 골은 6∼7cm 깊이로 파고 심습니다.
심으실때 유의 하셔야 하는게 뿌리 부분이 곧게 심어져야 합니다.
비스듬하거나 거꾸로 심으면 마늘통의 모양이 비뚤어져 상품가치가
떨어 지게 됩니다.
5. 거름주기
유황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이기 때문에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를
사용하면 품질이 향상됩니다.
6. 물주기
마늘은 특히 마늘통의 비대기에 다량의 수분을 요구합니다.
난지형 마늘은 4월 하순∼5월 중순, 한지형 마늘은 5월 중순∼6월
중순까지는 충분히 물을 대주어 마늘의 비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자 여기까지가 단단히 적은 마늘 재배법 입니다.
자 크게 어렵지 않으니 따라해 보시고요. 가까운 종묘사에 문의 하셔도
상세히 알려 주실거에요^^
'○─ 양파&마늘 > 양파&마늘 재배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늘밭 월별 관리는하는 방법 (0) | 2017.11.22 |
---|---|
[스크랩] 마늘심기는 이렇게 준비하세요 (0) | 2017.07.18 |
[스크랩] 마늘밭 월별 관리는하는 방법 (0) | 2015.11.10 |
[스크랩] 양파모 심었어요 (0) | 2015.11.08 |
한지형 마늘 재배기술 (0) | 2015.11.07 |